주베를린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베를린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는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가 독일 베를린에 설치한 경제 무역 대표부이다. 2005년 유럽 연합과 홍콩 간 무역량 증가에 따라 동유럽과의 경제 관계 확대를 위해 설립이 추진되었으며, 2009년 3월 9일 독립적인 외교 대표 기관으로 정식 설립되었다.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폴란드, 체코, 헝가리,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등 중앙유럽 및 동유럽 8개국과 홍콩 간의 경제·무역 관계 증진을 위해 활동하며, 현재까지 독일에 설립된 유일한 준외교 기구이다. 역대 대표로는 웡가이이, 레이궉반, 호시우핑, 레이지팡, 시토우가만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를린 주재 공관 - 주독일 대한민국 대사관
주독일 대한민국 대사관은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대한민국 외교부 소속 대사관으로, 1883년 조선과 독일 제국 간 조약 체결로 시작된 양국 관계가 단절 후 1955년 재개되면서 1958년 본에 개설되었고, 1999년 독일 수도 이전으로 베를린으로 이전하였다. - 베를린 주재 공관 - 주독일 영국 대사관
주독일 영국 대사관은 독일과 영국의 외교 관계를 증진하고 영국 시민의 권익을 보호하며, 브렉시트 이후 변화된 환경 속에서 양국 관계를 재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 홍콩 경제무역문화판사처
홍콩 경제무역문화판사처는 홍콩 정부가 타이베이에 설립하여 홍콩과 대만 간 교류 및 협력을 증진하고 대만 거주 홍콩 시민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나 2021년 5월 무기한 잠정 폐쇄되었다. -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서울 사무소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서울 사무소는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가 대한민국에 설치한 공식 대표 기관으로, 홍콩과 한국 간의 경제, 무역, 투자 관계 증진 및 문화 교류를 목표로 한다.
주베를린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현지어 이름 | 香港駐柏林經濟貿易辦事處 (광둥어: hoeng1 gong2 zyu3 paak3 lam4 ging1 zai3 mau6 jik6 baan6 si6 cyu3) 香港驻柏林经济贸易办事处 (표준중국어: Xiānggǎng Zhù Bólín Jīngjì Màoyì Bànshì Chù) |
설립일 | 2009년 3월 9일 |
관할 국가 및 지역 | |
소재지 | 베를린 10117, 예거로 33번지 |
상급 기관 | 상무경제발전국 |
웹사이트 | 주베를린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유럽 연합은 2005년에 홍콩에서 3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가 되었고 무역량도 증가했다. 이에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동유럽에서 홍콩의 경제·무역 관계를 확대하기 위한 대표부 설립을 추진했다.[5] 독일은 중앙유럽에서 홍콩과 가장 가까운 경제·무역 관계를 가진 국가였기 때문에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독일 베를린에 경제무역대표부를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주브뤼셀 홍콩 경제무역대표부에서 관할하던 일부 중앙유럽 국가가 주베를린 홍콩 경제무역대표부에 이관되었다.[5]
홍콩 입법회는 2006년에 주베를린 경제무역대표부 설립 안건을 가결했고[5] 2007년에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주브뤼셀 홍콩 경제무역대표부에 실무 그룹을 결성하여 독일 정부와 대표부 설립을 논의했다.[5][6] 주베를린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는 2009년 2월에 독일 연방의회의 승인을 받았으며[7] 2009년 3월 9일에 독립적인 외교 대표 기관으로 정식 설립되었다. 대표부는 주권 국가의 기관과 동일한 외교적 면책 특권을 누리고 있다.[7][8][9] 또한 현재까지 독일에 설립된 유일한 준외교 기구이기도 하다.[7][9]
2. 1. 설립 배경
2000년대 중반, 유럽 연합과 홍콩 간의 무역량이 증가함에 따라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동유럽 지역과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표부 설립을 추진하였다.[5] 특히 중앙유럽에서 홍콩과 가장 긴밀한 경제 관계를 맺고 있던 독일 베를린에 대표부를 설치하기로 결정하였다.[5] 이에 따라 기존에 주브뤼셀 경제무역대표부가 관할하던 일부 중앙유럽 국가들이 주베를린 경제무역대표부 관할로 이관되었다.[5]홍콩 입법회는 2006년에 관련 안건을 가결했고, 2007년에는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가 독일 정부와 대표부 설립을 논의하기 위해 주브뤼셀 홍콩 경제무역대표부에 실무 그룹을 결성했다.[5][6] 주베를린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는 2009년 2월에 독일 연방의회의 승인을 받았으며, 2009년 3월 9일에 독립적인 외교 대표 기관으로 정식 설립되었다.[7][8][9] 대표부는 주권 국가의 기관과 동일한 외교적 면책 특권을 누리고 있으며, 현재까지 독일에 설립된 유일한 준외교 기구이다.[7][9]
2. 2. 설립 과정
유럽 연합은 2005년에 홍콩에서 3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가 되었고 무역량도 증가했다. 이에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동유럽에서 홍콩의 경제·무역 관계를 확대하기 위한 대표부 설립을 추진했다.[5] 독일은 중앙유럽에서 홍콩과 가장 가까운 경제·무역 관계를 가진 국가였기 때문에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독일 베를린에 경제무역대표부를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주브뤼셀 홍콩 경제무역대표부에서 관할하던 일부 중앙유럽 국가가 주베를린 경제무역대표부에 이관되었다.[5]홍콩 입법회는 2006년에 주베를린 경제무역대표부 설립 안건을 가결했고[5] 2007년에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주브뤼셀 홍콩 경제무역대표부에 실무 그룹을 결성하여 독일 정부와 대표부 설립을 논의했다.[5][6] 주베를린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는 2009년 2월에 독일 연방의회의 승인을 받았으며[7] 2009년 3월 9일에 독립적인 외교 대표 기관으로 정식 설립되었다. 대표부는 주권 국가의 기관과 동일한 외교적 면책 특권을 누리고 있다.[7][8][9] 또한 현재까지 독일에 설립된 유일한 준외교 기구이기도 하다.[7][9]
3. 기능
2009년 3월 9일에 정식 설립된 주베를린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는 독일에서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를 대표하는 기구이며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가 유럽에 설립한 4번째 홍콩 경제무역대표부이다.[5] 런던, 제네바, 브뤼셀에 이어 4번째로 유럽에 설립되었다.[5]
대표부는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폴란드, 체코, 헝가리,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를 포함한 중앙유럽 및 동유럽 8개국과 홍콩 간의 경제·무역 관계 증진을 위해 노력한다.[10] 이를 위해 각급 정부 기관 및 다양한 국가의 기관들과 유대를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10] 또한 관할 국가들과 홍콩 간의 사회·문화적 업무를 처리하고, 홍콩을 홍보하기 위한 활동을 매년 적극적으로 조직하고 참여한다.[10]
4. 역대 대표
웡가이이(黃繼兒중국어, 황계아)는 2009년 3월 9일부터 2012년 1월 15일까지 주베를린 홍콩 경제무역대표부의 초대 대표를 역임하였다.
레이궉반(李國彬중국어, 이국빈)은 2012년 1월 16일부터 2014년 8월 24일까지 주베를린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대표를 역임했다.
호시우핑(何小萍중국어, 하소평)은 2014년 9월 1일부터 2018년 8월 5일까지 주베를린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대표를 역임했다.
레이지팡(李志鵬중국어, 이지붕)은 2018년 8월 6일부터 2021년 10월 31일까지 주베를린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대표를 역임하였다.
시토우가만(司徒加敏중국어, 사도가민)은 2021년 11월 22일부터 현재까지 주베를린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대표를 맡고 있다.
4. 1. 웡가이이 (黃繼兒, 2009년 3월 9일 ~ 2012년 1월 15일)
웡가이이(黃繼兒중국어)는 2009년 3월 9일부터 2012년 1월 15일까지 주베를린 홍콩 경제무역대표부의 초대 대표를 역임하였다.4. 2. 레이궉반 (李國彬, 2012년 1월 16일 ~ 2014년 8월 24일)
레이궉반(李國彬중국어)은 2012년 1월 16일부터 2014년 8월 24일까지 주베를린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대표를 역임했다.4. 3. 호시우핑 (何小萍, 2014년 9월 1일 ~ 2018년 8월 5일)
호시우핑(何小萍중국어)은 2014년 9월 1일부터 2018년 8월 5일까지 주베를린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대표를 역임했다.4. 4. 레이지팡 (李志鵬, 2018년 8월 6일 ~ 2021년 10월 31일)
레이지팡(李志鵬중국어)은 2018년 8월 6일부터 2021년 10월 31일까지 주베를린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대표를 역임하였다.4. 5. 시토우가만 (司徒加敏, 2021년 11월 22일 ~ 현재)
시토우가만(司徒加敏중국어)은 2021년 11월 22일부터 현재까지 주베를린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대표를 맡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Hong Kong Economic and Trade Office begins operation in Berlin
http://www.info.gov.[...]
[2]
PDF
http://www.legco.gov[...]
2022-03-01
[3]
PDF
http://www.hketoberl[...]
2022-03-01
[4]
웹사이트
CS officiated at the Official Opening Ceremony cum Gala Dinner of Berlin ETO (With photos)
http://www.info.gov.[...]
[5]
웹인용
在歐洲設立一個新的經濟貿易辦事處
https://www.legco.go[...]
2006-08-01
[6]
웹인용
香港駐柏林經濟貿易辦事處開始運作
https://www.info.gov[...]
2009-03-09
[7]
저널
Brand Hong Kong: Asia's World City as Method?
https://www.tandfonl[...]
2021-09-26
[8]
웹인용
Deutschland und Hongkong: Bilaterale Beziehungen
https://www.auswaert[...]
2020-12-25
[9]
웹인용
BLETO Ordinance
https://www.hketober[...]
2020-12-25
[10]
웹인용
立法會CB(1)173/18-19(05)號文件
https://www.legco.go[...]
2020-1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